1. 성능 모니터링의 중요성과 개요
(키워드: 성능 모니터링, 서버 자원, 병목현상 진단)
Windows Server를 운영하다 보면 갑작스러운 속도 저하, 애플리케이션 지연, 사용자의 로그인 오류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관리자에게 가장 중요한 도구는 성능 모니터링입니다. 특히 CPU, 메모리, 디스크 I/O, 네트워크 사용량 등 주요 자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병목지점을 찾아내는 것은 서버 안정성 확보의 핵심입니다.
성능 모니터링은 단순한 ‘리소스 사용률 보기’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지속적인 수치 수집과 로그 분석을 통해 시스템의 평소 상태와 이상 상태를 비교하고, 문제 발생 시점의 패턴을 파악해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이처럼 Windows Server 내장 기능인 **Performance Monitor(퍼포먼스 모니터)**는 IT 인프라 운영에서 반드시 익혀야 할 도구 중 하나입니다.
2. Performance Monitor 기본 사용법
(키워드: Performance Monitor, 카운터 추가, 실시간 모니터링)
Windows Server에 기본 포함된 Performance Monitor는 GUI 기반이기 때문에 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행 방법은 시작 메뉴에서 “perfmon” 또는 “성능 모니터”를 입력해 열 수 있습니다.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작업은 카운터 추가입니다. 카운터는 성능 측정 대상(예: CPU 사용률, 메모리 사용률 등)을 의미합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진행해보세요.
- 좌측 메뉴에서 [성능] 항목 선택
- 중앙 화면에 그래프가 표시됨
- 상단의 ‘+’ 버튼 클릭 → 카운터 추가 창 열기
- 예: “Processor → % Processor Time” 또는 “Memory → Available MBytes” 선택 후 [추가] → [확인]
기본적으로 실시간 그래프가 나타나며, 해당 수치가 지속적으로 올라가거나 80% 이상을 유지하는 경우 병목 가능성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색상별로 수치 추세를 비교하고, 이 데이터를 기록하여 장기적인 성능 변화를 추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데이터 수집기 세트 구성하기
(키워드: 데이터 수집기 세트, 로그 기록, 자동화 모니터링)
Performance Monitor는 단순 실시간 보기 외에도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특정 시간대의 CPU 급등 현상, 주기적 트래픽 폭주, 디스크 포화 상태 등을 로그 파일로 남길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려면 “데이터 수집기 세트(Data Collector Sets)”를 구성해야 합니다.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좌측 메뉴 [데이터 수집기 세트] > [사용자 정의] → 마우스 우클릭 → [새로 만들기] > [데이터 수집기 세트]
- 이름 입력 후 ‘수동 생성(고급)’ 선택
- 성능 카운터 추가 → 로그 저장 경로 지정 → 스케줄 설정
이제 해당 수집기 세트는 백그라운드에서 주기적으로 서버 자원을 측정하고 .blg 파일로 저장합니다. 이 파일은 이후 [성능 모니터 → 로그 분석] 메뉴에서 불러와 그래프 형태로 재분석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된 성능 기록은 문제 발생 직전의 상태를 파악하는 핵심 단서가 되며, 반복적인 장애 분석에도 유용합니다.
4. 주요 성능 카운터 해설 및 실무 활용
(키워드: 핵심 성능 카운터, CPU 병목, 메모리 누수, 디스크 대기 시간)
모든 카운터를 다 추가하는 건 오히려 분석을 어렵게 만듭니다. 실무에서는 반드시 체크해야 할 핵심 성능 카운터 몇 가지만 먼저 숙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는 주요 카운터와 그 해석 방법입니다:
Processor → % Processor Time | 전체 CPU 사용률 | 평균 60% 이하 |
Memory → Available MBytes | 사용 가능한 메모리 | 500MB 이상 |
LogicalDisk → Avg. Disk Queue Length | 디스크 요청 대기열 | 2 미만 |
Network Interface → Bytes Total/sec | 네트워크 트래픽 속도 | 네트워크 대역폭의 70% 이하 |
System → Processor Queue Length | CPU 대기 프로세스 수 | 2 이하 |
이 외에도 “Page Faults/sec”, “Disk Reads/sec”, “TCPv4 → Connection Failures” 등도 상황에 따라 추가적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문제 발생 시 로그 수치를 기반으로 “어떤 자원이 포화 상태였는지”를 추적하면, 원인 파악이 한층 수월해집니다.
5. 성능 모니터링을 통한 장애 예방 전략
(키워드: 사전 경고 설정, 용량 계획, 트렌드 분석)
성능 모니터링은 단기적으로 문제 원인을 찾는 데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장애를 예방하고 자원 계획을 세우는 핵심 도구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매주 월요일 오전 9시 CPU가 급증하는 트렌드가 있다면, 이 시간에 리소스를 여유 있게 확보하거나 서비스 분산 정책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경고 설정(Alert)] 기능을 활용하면, 특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이메일 알림이나 로그 기록이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Processor Time > 85%” 조건을 설정하고, 지속 발생 시 관리자에게 즉시 알림을 보내 장애 대응 속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더불어, 정기적인 데이터 수집 및 보고서는 서버 증설 시점 결정, 가상화 리소스 할당 계획, 백업 창구 설정 등 다양한 운영 판단의 근거가 됩니다. 성능 모니터링은 결국 “예방 중심의 운영 체계”를 실현하게 하는 중요한 실무 역량입니다.
마무리 요약
Windows Server의 Performance Monitor는 설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내장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전문 모니터링 솔루션 못지않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초보자도 UI 중심으로 카운터를 추가하고 데이터를 기록하며 점차 로그 분석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서버 운영 중 문제가 생겼을 때 “그때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록이 남아 있는지가 대응의 성패를 가르므로, 지금부터라도 모니터링을 생활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윈도우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그온 스크립트 구성 및 자동 실행 설정 방법 (0) | 2025.07.23 |
---|---|
Windows Server 2022에서 BitLocker로 드라이브 암호화하기 (0) | 2025.07.23 |
윈도우 서버에서 파일 감사(File Auditing) 정책 설정 가이드 (0) | 2025.07.23 |
윈도우 서버에서 로컬 GPO와 도메인 GPO의 차이 이해하기 (0) | 2025.07.22 |
윈도우 서버에서 로컬 및 도메인 감사 로그 설정하기 (0) | 2025.07.22 |
NIC 팀 구성으로 네트워크 속도 향상시키기 (0) | 2025.07.22 |
Active Directory 사용자 대량 등록 및 일괄 관리 팁 (0) | 2025.07.21 |
윈도우 서버 스냅샷과 체크포인트 차이점과 사용법 (0) | 2025.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