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순 설치를 넘어선 실무 기준 ISO 준비 및 부팅 디스크 작성법]
Windows Server 2022 설치의 첫걸음은 ISO 다운로드와 부팅 디스크 제작입니다. 많은 튜토리얼이 여기서 끝나지만, 실무에서는 검증된 이미지 소스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MS 공식 평가판 ISO는 Evaluation Center에서 다운로드하며, 설치 후 180일간 평가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운영 환경에 투입할 경우, 라이선스 적용 전 제품 키에 맞는 ISO 이미지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VLSC에서 받은 ISO와 평가판 ISO는 내부적으로 차이가 있어 오류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부팅 USB는 대부분 Rufus를 사용하지만, UEFI 환경에서는 Windows USB/DVD Download Tool보다 Rufus가 안정적입니다. 실무 팁으로, Rufus 설정 시 Partition scheme을 GPT, Target system을 UEFI로 반드시 선택해야 부팅 문제가 없습니다. 또한, ISO를 다운로드한 후에는 해시값(SHA1 또는 MD5)을 검증하여 파일이 손상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것도 좋은 습관입니다.
▶ 팁: 부팅이 되지 않는다면 Secure Boot 외에도 UEFI 모드 설정과 USB 포트 버전(2.0 vs 3.0)을 바꿔보세요. 일부 서버 BIOS는 USB 3.0 인식이 불안정한 경우가 있습니다.
2. [설치 옵션 선택 시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고민과 해결]
설치 시 가장 많은 질문을 받는 것이 "어떤 에디션을 선택해야 할까?"입니다.
Standard vs Datacenter, Server Core vs Desktop Experience는 단순 기능 비교가 아닌 용도 기반 선택이 중요합니다.
- Desktop Experience는 GUI 기반으로 초보자 및 GUI 환경이 필요한 관리 도구 사용자에게 적합하며, 실무에서 초기 도입 시 대부분 이 옵션을 사용합니다.
- 반면 Server Core는 리소스 절약 및 보안상 유리하지만, 모든 설정을 PowerShell이나 원격에서 해야 하므로 스크립트 자동화 또는 원격 관리에 능한 경우에만 권장됩니다.
Datacenter 버전은 가상화 수요가 높은 환경(예: Hyper-V 무제한 사용, Storage Replica 등)에 필요하며, 일반 기업에서는 대부분 Standard 버전으로 충분합니다.
▶ 실무주의: "제품 키 없음"으로 설치하더라도 나중에 slmgr /ipk 명령어로 키를 입력해 정품 인증할 수 있으므로, 테스트 단계에서는 키 없이 설치해도 무방합니다. 단, 잘못된 ISO로 설치하면 해당 키가 먹히지 않을 수 있으니, 앞서 언급한 ISO 일치 여부가 중요합니다.
3. [디스크 구성과 설치 중 에러 대처법: 블루스크린, 오류코드 해결 포함]
설치 대상 디스크 설정 시 기본 파티션을 자동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실무에서는 디스크를 미리 정리하거나 RAID 구성 상태에 따라 설정을 달리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Dell, HPE 서버는 기본적으로 RAID 컨트롤러에서 가상 디스크(Virtual Disk)를 구성해야 설치 디스크로 인식됩니다. 이를 설정하지 않으면 설치 중 “드라이브를 찾을 수 없습니다” 오류가 발생합니다.
또한 설치 중 블루스크린이 발생하거나 "Windows cannot be installed to this disk" 오류가 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BIOS가 UEFI가 아닌 Legacy로 설정되어 있고 ISO가 UEFI 전용인 경우
- 디스크가 MBR로 설정되어 있고 GPT가 필요한 경우 (diskpart로 변환 필요)
- USB 설치 미디어가 불완전하게 제작된 경우
▶ 현장 팁: 이런 문제가 발생하면 설치 중 Shift + F10을 눌러 CMD 창을 연 뒤, diskpart > list disk > select disk 0 > clean > convert gpt 명령으로 디스크를 초기화하고 다시 시도하면 대부분 해결됩니다.
4. [설치 후 초기 설정 자동화와 보안 최적화 실무 팁]
Windows Server 설치 후 바로 해야 할 설정이 있습니다. 특히 도메인 컨트롤러로 설정하거나 내부망에서 운영할 서버일수록 초기 보안 구성과 자동화 스크립트 적용이 중요합니다.
- 컴퓨터 이름 변경
Rename-Computer -NewName "Win2022Image"
설정 후 재부팅이 필요합니다. - 고정 IP 주소 설정
New-NetIPAddress와 Set-DnsClientServerAddress 명령으로 설정하면 GUI 없이도 바로 구성할 수 있어 자동화에 유리합니다. - SMBv1 비활성화
보안상 SMBv1은 반드시 비활성화해야 하며, PowerShell에서 다음 명령으로 처리합니다:
Disable-WindowsOptionalFeature -Online -FeatureName "SMB1Protocol" - 방화벽 규칙 및 원격 접속 구성
Enable-PSRemoting, Set-NetFirewallRule 명령을 통해 원격 관리 허용 및 특정 포트만 오픈하는 보안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Windows 업데이트 자동화
설정 > 업데이트 > 고급 옵션에서 "자동 재시작 알림" 설정을 비활성화해 실시간 운영 중 재부팅 방지를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Server 2022에서 WSUS로 Windows Update 중앙 관리 쉽게 따라하기 (0) | 2025.07.14 |
---|---|
Windows Server 2022 서버 보안 가이드: 방화벽, 포트 차단, RDP 보안 쉽게 따라하기 (0) | 2025.07.14 |
Windows Server 2022에서 Hyper-V를 활용한 가상화 구축 완벽 가이드 (0) | 2025.07.14 |
Windows Server 2022 파일 서버 구축 및 권한 설정 쉽게 따라하기 (1) | 2025.07.14 |
Windows Server 2022 DNS 서버 설정과 내부 네트워크 최적화 실무 전략 (0) | 2025.07.14 |
Windows Server 2022 DHCP 서버 구축 및 IP 관리 자동화 실무 가이드 (0) | 2025.07.14 |
그룹 정책(GPO) 설정 가이드: 실무에서 꼭 알아야 할 핵심 정책 정리 (1) | 2025.07.14 |
Windows Server 2022 도메인 컨트롤러 구성하기 – 처음부터 끝까지 따라하기 (0) | 2025.07.14 |